수원문화원은 오는 27일 빛누리아트홀 공연장에서 ‘2025 수원대유평농악 시연·발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수원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인 ‘대유평농악’의 현대적 의미와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통에서 창조로: 수원대유평농악의 재구성과 지속가능성’을 주제 삼아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특징을 재조명하고 오늘날의 교육·문화적 활용 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행사에는 학계와 현장 전문가가 참여해 대유평농악의 다양한 측면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이동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수가 ‘수원대유평농악의 재구성과 지속가능성’을 통해 대유평농악의 역사적 맥락을 되짚어 문화유산으로써 어떻게 재구성되고 계승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 양옥경 전북대학교 학술연구교수는 ‘수원대유평농악의 전승맥락과 농악사적 의미 발견’을 발표해 대유평농악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두레농악과 맺은 과계와 양식화의 의미를 학술적으로 분석한다.
또 박희윤 남양주 어람초등학교 교사와 최성우 전통타악그룹 IN 풍류 동인은 각각 ‘대유평농악의 연행 양상과 판제의 특징’, ‘수원대유평농악의 교육적 활용과 의미’를 발표해 대유평농악만의 독창적인 예술적 가치와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의 의미를 제시한다.
발표에 이어지는 시연에서는 김현수 수원대유평농악 보존회장의 연출로 전통 장단과 몸짓을 직접 감상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한다.
김봉식 수원문화원 원장은 “대유평농악은 수원의 정체성과 공동체 정신을 담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이번 행사는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 미래 세대와 함께 이어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이준도 기자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