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한강버스 연결 좌초 위기
서울 한강버스 잦은 사고 비판에
고양·김포시 연장 사업 지지부진
다목적 선착장 등으로 변경 고심
서울의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의 반복적인 사고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한강버스 연계 등을 통해 수상교통을 활성화하려 했던 경기도 내 지방자치단체 사업이 안갯속에 빠졌다.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수상교통이 도심 속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였지만, 사고에 대한 비판 여론도 고려해야 하는 지자체로서는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여건이다.
25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몇 년 사이 수상교통 체계 구축 의지를 드러냈던 도내 도시들의 사업 계획이 현재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한강과 인접한 고양시와 김포시가 대표적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지난해 3월 서울시장과의 만남에서 한강버스를 ‘고양항(가칭)’까지 연장 운행하자고 제안했으나, 1년 9개월이 흐른 현재까지 관련 내용이 논의 ·검토되지 않았다.
당시 고양시는 고양항과 연계해 한강버스를 운행한다면, 한강버스가 런던의 ‘템즈강’처럼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구상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한강 수변에 고양항 조성을 목표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도 언급했다.
하지만 고양시는 ‘고양항’ 대신에 행주나루터에 다목적 선착장을 짓는 방향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정치적으로 건의되긴 했지만, 한강버스를 고양시와 연결하기 위한 계획은 전혀 검토된 바 없다”며 “선착장 구상과 관련해 한강버스 안전사고 문제 사례를 모니터링(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포시 역시 수상교통이 관광 활성화의 경쟁력 있는 자원이 되리라 기대하면서 한강버스의 김포 노선 연장을 목표로 지난 3월 ‘한강 수상교통체계 구축 TF(대응)’를 꾸렸지만, 아직 논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
김포시 관계자는 “연장과 관련해 서울시와 협의하고 조정 중”이라면서 “(목표 시점은)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했다.
지난 2023년 타당성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 지난 9월 정식 운항을 시작한 한강버스는 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 경로를 지난다. 155명에서 199명까지 탑승 가능하다.
그러나 개통 이래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시민과 정치권 등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안전성 보강을 위해 한 달가량의 점검을 마치고 이달 1일 한강버스의 운행을 재개했으나, 15일 오후 8시 24분 잠실선착장 인근에서 탑승객 82명을 태운 한강버스가 하천 바닥에 걸려 멈추는 사고가 거듭 발생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열린 ‘천만의 꿈 경청단’ 출범식에서 “임금은 치산치수에 성공해야 하는데 한강을 오가는 한강버스를 보고 서울 시민들은 ‘한 많은 버스’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