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미디어아트의 현재를 보여주는 전시, ‘소장품 특별전: 동시적 순간’이 오는 9월 1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제1원형 전시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뉴미디어아트를 이끌어가는 주자들의 대표작을 모은 전시다.

‘동시(同時)’는 뉴미디어아트의 다양한 요소인 영상, 이미지, 소리, 시간이 작품 안에서 중첩되고, 교차해 관람객과 만나는 순간을 드러내기 위한 개념이다. 전시는 참여 작가 6인의 작품이 담고 있는 수많은 이미지들이 어떤 의미를 던져 주고, 관람객들에게 이 순간들 속에서 무엇을 바라봐야 할지 묻고 있다.

김희천 작가는 3D, VR,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해 이 두 세계가 혼재하는 영상 작업을 주로 제작하고 있다.

자동차 경주 게임을 하는 듯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 ‘썰매’는 인터넷과 현실의 경계, 실재와 실재가 아닌 것 그리고 SNS상의 자아 등에 대해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남화연 작가의 ‘욕망의 식물학’은 17세기 튤립 버블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비이성적 욕망을 튤립의 다양한 이미지, 꿀을 찾는 벌의 비행을 모티브로 한 드로잉과 안무 그리고 주식 폭락에 대한 중계자의 목소리를 합한 영상으로 표현한다.

박찬경 작가의 ‘시민의 숲’은 분단과 냉전 같은 사회, 정치적 이슈들이나 역사와 재현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전통적인 두루마리 산수화 형식을 빌려 3채널 비디오로 구현한 작품으로 비극적이고 혼란스러운 한국 근현대사에서 이름 없이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애도를 담고 있다.

안정주 작가는 ‘열 번의 총성’에서 한국전쟁을 다룬 영화의 클라이맥스에 나오는 10개의 총성을 모아 6명의 무용수에게 들려주고, 전쟁에서 죽음의 순간을 표현하는 춤을 의뢰했다. 이 작품은 전쟁이라는 과거의 사실을 동시대를 살아가는 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오민 작가는 ‘ABA 비디오’에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소나타 2번 1악장을 선택해 악곡의 구조를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영상으로 탈바꿈시킨다.

전소정 작가의 ‘예술하는 습관’은 일상을 담은 일곱 개의 영상과 영상 속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재현한 다섯 점의 사진을 통해 작가로서 예술을 한다는 행위와 태도에 대한 고민을 보여준다.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출품된 작품들은 190여 점의 뉴미디어 소장품 중 최근 소장된 작품으로 이 중 5작품은 소장 후 첫 공개된다”며 “각각의 작품이 만들어내는 특별한 화음과 함께 우리들 각자의 순간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는

김수언기자/soounchu@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