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수 차례 계획연재하고 있는 ‘과학자를 키우자’ 는 결국 이공계 엑소더스를 부르는 기본 원인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앞으로 7년후면 무려 21만명이 부족한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게 그것이다. 그렇다면 어찌해야 할 것인가. 우선 그 해답은 멀리 있지 않다. 가까운데 부터 찾아보자면 사회인식이 바꿔야 한다는게 우선이다. 본보가 취재한 바로도 그 답은 이미 나와 있었다. 서울대 공대대학원이 미달사태에 이르고 다른 판검사·의사·공무원 등 이 선호대상이라면 할 말도 없게된다. 이 모든 것이 이공계열을 내려 봐온 결과 사회인식의 결과다. 지난 5년간 7천여명이 이런 식으로 전공을 바꿨다면 앞으로 이 나라의 미래는 누가 책임질 것인가. 실제로 모든 통계가 인문사회계 인물은 32만명 남아 돌것이 확실하고 이공계만 모자를 것이라는 결론이다.

얼마전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인력 양성에 역점을 두어 창의융합 인재를 육성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겠다.” 고 말한바 있다. 하지만 이런 대통령의 의지와 달리 현실은 여전히 반대로 가는 추세를 모르는 사람이 없다. 고질적인 이공계 홀대현상으로 매년 1천여 명 이상의 과학도들이 로스쿨과 의전원 등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어서다. 학계에서조차 이공계열을 이른바 ‘공돌이’ 취급하고 있다는 자조섞인 얘기고 보면 판·검사나 의사와 공무원을 우대하는 사회적 분위기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당연한지 모른다.

과학자나 기술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두하고 일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 정착이 시급하다. 이미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2015년 ‘대학 전공 계열별 인력 수급 전망’ 자료는 실망스럽기까지 하다. 2024년까지 공학계열 노동시장의 필요인원은 96만9천여 명이지만, 공급 가능한 인력은 75만4천여 명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 탓이다. 이러한 분석대로라면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분야 중 하나인 공학계열의 인재 21만5천여 명이 부족한 사태가 곧 닥친다. 그런데도 공무원 또는 판·검사로 진출이 가능한 인문·사회계열은 31만8천여 명의 인력이 남아돌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문제는 이 모두의 예측이 현실로 들어맞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대 공대 대학원의 올해 후기 석사과정 모집에서 사상초유의 미달사태가 나왔다. 또한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이공계 엑소더스 현상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카이스트 졸업생 5천142명 중 496명은 의·치의·법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한 기록도 있다. 이같은 이공계 기피 현상은 판·검사와 의사 등 고소득 직종 및 공무원과 같은 안정적인 직업군을 선호하는 사회 분위기에서 기인한다. 작년 국감에서 오세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서도 5년간 7천733명의 이공계 학생이 전공과 관계 없는 의학·법학 분야를 선택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공계열 학생들이 비전을 찾지 못하면 국가의 미래가 어둡게 된다. 이제부터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인식수준이 변해야 산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