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정부 차원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이 열렸다. 정부는 14일 이 날을 첫 국가기념일로 제정했다. 1991년 8월 14일 고 김학순 할머니의 용기로 시작된 위안부 피해 폭로는 27년 동안 국제 사회에 일본의 인권유린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은 여전히 사과를 거부한 채 지난 2015년 위안부 합의로 모든 것이 끝났다는 입장만을 고수하고 있지만 결국 역사의 진실 앞에 머리를 숙일 것이며, 일본의 사과를 받아내기 위한 할머니들의 의지와 행보가 계속되는 한 반드시 그 날이 올 것이다.

하지만 고령의 할머니들은 한 분 한 분 세상을 떠나고 망향의 동산에는 벌써 49분이 잠들어 있다. 할머니들은 현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에 위안을 받고 있음을 토로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강조했듯이 위안부 문제는 인류 보편적 여성인권의 영역으로 외교적 해법 그 이상이며,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전 세계인이 교훈으로 삼아야 할 문제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에 대한 기록의 발굴과 보존은 물론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기념사업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가장 시급한 문제는 고령의 할머니들이 한 분이라도 더 생존해 계실 때 일본과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정부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해법이 나오지 않아 실망스럽다. 일본의 10억 엔으로 만든 화해치유재단만 해도 특별하게 하는 일 없이 매달 거액을 운영비로 쓰며 유지되고 있다고 한다. 정부가 위안부 합의가 졸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인정하고 이 재단의 해체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외교부와 여성가족부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양상이다.

그 사이 일본 정부는 매우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에 위안부 합의가 해결됐음을 강조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세워지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과 기림비 건설을 저지하는 일에도 조직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재 7개국 124개의 기림비와 소녀상이 설치되어 있는데 일본 정부는 이를 철거하기 위해 외교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심지어 소송까지도 불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런 가운데에서도 국제사회가 할머니들을 지지하면서 일본의 철거 요구에 응하지 않는 점은 정의가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다. 국제사회에 인권유린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힘을 얻고 있는 것이다. 하루라도 빨리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