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낙후지역을 전면 철거해 아파트로 개발하는 재개발사업과 달리 역사와 문화는 그대로 보존하면서 도로확장, 주차장확보, 공공임대주택과 공공임대상가 등 낙후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일자리을 창출까지 할 수 있는 원도심 재생사업이다.

최근 단순히 원도심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의 혜택을 제공해줌으로써 공공의 이익을 기반으로 문화적 혜택을 주려는 사업으로 폭을 넓혀 현재 각 자치단체별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도시 브랜드에 활용하는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의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은 마을을 그대로 보존한 채 지역별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거주민들과 소통하면서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도시를 만들어가는 것”이 진정한 그 도시 속에서 가치 있는 것들을 찾아 새롭게 만들어가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진정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성공하려면 “지역여건과 지역주민들의 실정을 파악해 지역주민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시재생 이후 그 지역에 살고 있던 주민들이 제 자리에서 다시 생활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배려들이 선행되어야 하며 사후 부담금 문제로 인해 그 지역에서 쫓겨나는 일들이 발생되지 않는 세심한 행정적 배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리적인 낙후성에만 착안할 것이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역사 등 원주민의 재정착과 지역사회의 특성이 회복되는 등 지역사회의 통합에도 중점을 두는 접근 또한 필요하다.

아울러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적 차원에서도 일정한 형식이나 틀에 기계적으로 맞추는 재생사업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대상지구를 선정함에 있어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청취한 후, 지역주민이 지원모델을 스스로 인식해 서민들의 애환이 서려있는 그곳에 그들이 재생사업에 적극 동참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우리 동구도 새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인 “패밀리-컬처노믹스 타운, 송림골 사업”과 “화수동 정원마을 사업”을 착실히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적으로 뉴딜사업만 할 수 있는 전담 부서를 만들어서 전문가를 배치시키고 최초 디자인부터 설계, 초기단계 부터 치밀하고 획기적인 아이템을 가지고 사업을 차질 없이 준비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전 사업처럼 다 헐어내고 다시 새로운 아파트를 세우는 전면 철거 방식에서 벗어나 기존에 있는 역사와 문화 이러한 도심 속에 있는 것들을 최대한 살리면서 새로운 주거문화를 창출시킬 것이다.

이와 함께 주변의 상권도 함께 살리고 옛날에 살았던 동구청 주변 송림시장 여인숙 골목 같은 곳을 서울의 인사동 골목처럼 형성해 나가고 그곳 주변을 집중적으로 재정비하여 야구테마 박물관이라 든지, 공·폐가를 헐어내서 공원, 주차장을 만들고 주민 문화 공간도 만들어 도심 속의 문화마을, 인천의 옛 문화가 살아나는 문화마을로 주민들에게 개방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즐길 수 있는 공간 즉, 테마가 있는 명소로 재탄생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사업들도 차질없이 준비할 것이다.

그 동안 소외되고 침체되고 낙후 되어 있던 동구에 새로운 도시재생의 새바람을 통해 하나하나 빛과 희망이 보이고 역사와 문화와 전통이 공존하는 동구가 되리라고 확신하며 앞으로 이러한 기틀을 통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속도감 있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추진을 위해 우리 함께 만들어 나아가길 희망해 본다.

이흥수 인천 동구청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