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20일 오전 성남시 분당구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빅포럼 2017 국제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김금보기자
“정치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주체적으로 변화를 수용하는 것이 4차산업혁명을 맞이하는 경기도와 세계에 가장 시급한 문제다”

성남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20일 개최된 ‘빅포럼 2017’에서 제기된 핵심 의제였다.

‘4차 산업혁명과 글로컬(GLOBAL + LOCAL)’이라는 주제로 21일까지 진행되는 이날 포럼은 남경필 경기도지사, 성낙인 서울대 총장, 오창희 경기콘텐츠진흥원장을 비롯해 칼 프레이 옥스포드대 교수,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등 관련 전문가 및 공무원이 참석했다. 이들은 4차산업혁명의 개념 파악과 도래하고 있는 변화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대응 방법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은 남 지사와 이 이사장, 칼 프레이 교수의 기조연설과 토크콘서트가 메인으로 진행됐다.

먼저 패널들은 4차산업혁명의 뜨거운 감자인 ‘일자리의 전망‘에 대해 다소 다른 관점을 보였다. 칼 프레이 교수는 역대 산업혁명들이 일자리의 소멸과 창출을 반복하며 혼란을 야기해왔다고 봤다. 하지만 이 이사장은 기술혁신은 일자리를 없앤 적이 없으며 창조적 소멸과 생성이 반복될 뿐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4차산업혁명에 대한 대응방법의 차이로 이어졌다. 칼 프레이 교수는 “사회 상호작용, 창의성 등 아직까지 인간이 인공지능으로부터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를 집중 겨냥해야 한다”며 “그와 함께 인간을 위한 적절한 정책이 병행된다면 4차산업혁명의 물결에 안정적으로 순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 이사장은 “역대 산업혁명 구간별 실업률은 비슷한 비율을 유지해왔으며 오히려 GDP는 증가했다”며 “기계의 노동 대체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쪽으로 인간의 시선을 돌려 질적 성장을 촉발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이 가져다주는 변화에 대응, 순응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거버넌스가 가장 중요하다는 명제에는 모두 동의했다. 그들은 기존의 노동구조의 절반을 곧 기계와 인공지능이 대체하게 될 것이며, 새로운 고부가가치 일자리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명확하게 갈릴 것으로 봤다. 때문에 사회혼란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4차산업혁명의 안착을 위해서는 정치적 거버넌스가 선제적으로 구축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재숙련을 보장하는 사회안전망 설치 ▶ 교육제도의 혁신을 통한 미래 인력 양성 ▶ 창출되는 가치, 일자리를 공정하게 분배하는 제도 정비 ▶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규제완화 등이 거론됐다.

남 지사는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행복과 비례하지는 않는다”며 “기술이 인간의 행복과 직결되게 하기 위해서는 정치가 공유와 개방, 자유의 가치 아래 적절한 방향을 잡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은 제레미 리프킨 TIR연구소 회장의 화상강연과 국내외 전문가들의 토론 순으로 마무리됐다. 21일 개최되는 포럼 2일차에는 도내 공유경제와 제조혁신 통합모델을 위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황호영기자/alex1794@naver.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