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10일 발표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여주고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대한 통합적 소양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절대평가 범위가 확대됨과 동시에 사실상 출제과목도 늘어나는 모양새여서 실제 수험생의 학습 부담이 줄어들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 응시영역은 똑같이 7개…출제과목은 사실상 증가

정부가 내놓은 2가지 시안에 따르면 2021학년도 수능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탐구, 제2외국어/한문 등 7개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교육부는 올해 치러지는 2018학년도 수능과 비교해 탐구영역이 1과목 줄고 통합사회·통합과학 1과목이 늘어 응시영역 수가 똑같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학교에서 따로 수업하는 별개 과목이다.

특히 통합사회는 현행 일반사회·지리·윤리·역사, 통합과학은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에서 배우는 내용을 융합한 것이다.

기존에 8개 과목에서 배운 개념을 합쳐놓은 영역이므로 학생들은 사실상 8개 과목을 공부한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문과 성향의 학생들은 기존에 수능에서 피할 수 있었던 과학분야를, 이과 학생은 사회분야를 공부해야 한다는 점 자체만으로도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학습량 역시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여기에 선택과목도 계속 수능 출제영역으로 남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크다.

수능이 단계적 절대평가로 전환될 경우 탐구과목은 상대평가로 남을 가능성이 큰데 이럴 경우 국어, 수학과 함께 학생들이 변별력이 가장 큰 영역이 될 수 있다.



◇ 9등급 절대평가 적용 과목에 ‘눈길’

정부 시안에서 또 한가지 눈에 띄는 점은 절대평가 범위 확대다.

현행 수능의 경우 영어·한국사를 뺀 나머지 과목은 상대평가다.

학생들의 점수를 바탕으로 누적 백분위를 산출한 뒤 상위 4%까지는 1등급, 11%까지는 2등급, 23%까지는 3등급을 주는 등 9개 등급으로 나누는 식이다.

정부는 수능 상대평가가 학생 간 무한경쟁을 촉발하고 난도가 높은 문제를 필요이상으로 출제하게 만든다는 점을 들어 절대평가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와 한국사처럼 절대평가 영역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영어는 2018학년도 수능부터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을 받으면 1등급을 받고, 10점 단위로 등급이 바뀐다. 한국사는 50점 만점에 40점 이상을 받으면 1등급이고 5점 단위로 등급이 떨어진다.

교육부의 두 가지 시안을 보면 1안은 국어·수학·탐구과목을 상대평가로 남겨두고, 새로 도입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절대평가로 바꾼다.

이렇게 되면 국어·수학과 탐구과목에서 최소한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새로 도입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에 대한 수험생의 시험 부담을 줄이고, 아랍어 쏠림 현상 등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왜곡현상도 줄일 수 있다.

2안은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이렇게 되면 변별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학생들은 다른 학생의 석차를 신경 쓸 필요 없이 자신이 해당 영역의 성취 기준을 제대로 충족했는지 점검하면서 공부할 수 있다.

절대평가 체계는 영어·한국사와 같은 9등급이 될 전망이다.

등급을 더 나누면 학생들의 시험 부담이 증가해 절대평가의 취지가 퇴색할 수 있고, 등급을 줄이면 변별력이 너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수능 시안 발표에 앞서 진행한 기자단과의토론회에서 5등급제 도입 가능성에 대에 “현행 등급(9등급제)으로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변근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