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녹지 보존" vs 용인 "개발 통해 일자리 창출"

▲ 21일 오후 청명산 전경. 용인시 관할인 동쪽은 개발이 진행된 반면 수원시 관할은 녹지가 보존돼 있다. 노민규기자

지자체 경계에 놓인 한 개의 산(山)을 두고 행정구역에 따른 개발 방향이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녹지 보존을 통한 시민 건강 챙기기’와 ‘녹지 개발을 통한 경제적 효과 기대’라는 지자체간 대조적인 정책 방향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해당 지역 주민들의 명암도 엇갈리면서, 이에 대한 반응 역시 제각각이다.

21일 수원시와 용인시에 따르면 두 지자체는 해발 150m 규모의 청명산을 기점으로 행정구역이 나눠져 있다.

하지만 두 지자체간 청명산에 대한 정책기조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수원시는 시민의 건강을 고려해 녹지공간을 훼손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고, 용인시는 해당 녹지를 개발해 일자리 창출과 인구유입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용인시 관할인 청명산 동쪽(용인 기흥구)에는 산을 깎거나 개발을 진행해 중고차 매매 단지와 골프 연습장, 주택단지 등을 지어놓은 상태다.

반면, 수원시 관할인 청명산 서쪽(수원 영통구)에는 2개의 학교가 지어져 있는 것이 전부였다.

성남시와 광주시 경계에 위치한 불곡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는 불곡산, 형제산, 봉적골 고개 등을 기점으로 보전녹지지역과 계획관리지역으로 나뉘고 있는데, 성남시는 해당 부지들에 대해 개발이 아닌 관리위주로 계획을 수립했다.

성남시 관계자는 “시 정책 방향이 개발위주로 수립 된 것이 아니라 관리 위주로 수립했다. 그러다 보니 개발을 억제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며 “녹지개발을 허가해달라는 민원이 자주 제기되지만 시 특성상 관리 보전이 성남시의 정책 방향이다”라고 말했다.

반대로 광주시는 행정구역을 나누는 경계선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지역을 계획관리토록 아파트 단지와 주택단지 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상태다.

광주시 관계자는 “성남시에서 흘러들어오는 유입 인구들을 수용하기위해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며 “무엇보다 대도시와 접해있다보니 광역 교통망 개통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해당 시·군간 경계에서 거주하는 주민들은 종잇장 한장 차이의 거리를 두고도 상반된 정책이 적용되면서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같은 생활권의 주민끼리도 지자체의 입장에 따라 재산, 생활환경 여건이 확연히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개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와 무분별한 녹지 개발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충돌하고 있다.

도내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우리 삶에 산림이 가지고 있는 역할이 굉장히 크다. 수요에 맞춰 개발을 하다가는 언젠가는 재앙이 닥칠 것이다”라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도 이같은 무분별한 개발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한 부동산 업자는 “성남이나 수원의 경우 건축허가가 어렵다보니 좀더 원활히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는 광주나 용인시로 사업자들이 넘어오는 경향이 있다”며 “대도시인 수원과 성남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개발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야 한다”고 말했다.

백창현기자

영상=류준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